살면서 상하이를 여행한 것은 모두 세 번이다.
첫 번째는 스물두 살 대학 시절, 교환학생으로 산둥성(山東省) 지난(濟南)에서 공부했을 때다.
방학을 맞아 친구 두 명과 3주 동안 중국을 여행했는데 그때 상하이가 우리의 첫 관문 도시였다.
하지만 기대를 안고 도착한 상하이는 7월 말의 축축한 습기와 더위에 파묻혀 있었고,
우린 서둘러 산뜻한 남쪽 도시를 향해 떠났다.
내 기억에 남은 것은 뿌연 안개 너머 생각보다 거대한 동방명주의 실루엣 정도였다.
두 번째는 2014년 7월 말, 회사 출장차 간 여행이었다.
이 여행에서 상하이는 나의 신조를 가볍게 깨주었다. 최악의 여행이란 없다는 순진한 낙관주의를 말이다.
상하이 사람들은 아직도 그해 여름을 최악의 폭염으로 기억하고 있다.
기온은 섭씨 40도를 웃돌았고, 그 와중에 중국은 구글(Google)이 되지 않는 나라여서 나는 몇 번이나
길을 잃었다.
장담컨대 상하이의 폭염 속에 길을 잃어본 사람만이 불지옥에 대해 말할 수 있다.
한번은 시간이 급해 오토바이를 얻어 탔는데, 오후 2시의 태양 아래 살이 지글지글 끓는 소리가 들릴
지경이었다(환청이었나?).
그리고 나는 지갑을 도둑맞았고, 스마트폰에 넣는 유심 카드를 잃어버렸고, 기차를 놓쳤다.
한국인의 명예를 걸고 외상을 하기도 했고, 함께했던 일행들의 불만은 속출했다.
결과적으로 모든 게 엉망이었다.
귀국하는 길에 나는 손에 남은 위안화 몇 푼을 짤랑거리며 생각했다.
‘이건 내 영혼이 바닥을 긁는 소리야’. 미리 말해두지만 상하이의 여름만큼은 절대로 피하시라.
세 번째 여행은 올해 4월 한 달 동안 가이드북 취재를 위해 간 것이었다.
그리고 나는, 대학시절 첫 만남 뒤 아주 오랜 시간이 흐르고 나서야 진짜 상하이를 만났다.
상하이는 그런 도시다.
손을 뻗어서 면사포를 걷어 올리기 전까지는 쉽게 제 얼굴을 보여주지 않는다.
이 도시는 비교적 단순한 중세사와 매우 복잡한 근대사, 엄청나게 바삐 흘러가는 현대사를 지녔다.
그 여러 겹의 시간이 하나로 중첩돼 상하이라는 기묘한 도시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아직도 한국인 대다수는 중국, 중국인은 촌스럽고 몰취미하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어쩌면 오랫동안 공산주의 국가를 배제해온, 편향적인 교육 탓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상하이에 가서 이 도시의 민낯을 보는 순간 편견은 일제히 깨지고 만다.
인구는 2400만명, 면적은 서울의 10배. 거주하는 외국인만 100만 명. 이 거대한 메트로폴리스는
문화·예술·건축·교통·산업 모든 분야에서 현대 중국의 정점을 찍었다.
중국 4대 요리인 상하이 음식을 비롯해 외국인이 직접 운영하는 프랑스, 스페인, 중동, 태국 레스토랑이
즐비하고, 동서양 미술의 용광로인 크고 작은 갤러리가 도시 곳곳에 예술혼을 불어넣는다.
건축은 말할 것도 없다.
신고전주의 박물관이라고 해도 될만한 와이탄(外灘) 건축군, 개성 있는 마천루가 모여 외계 행성처럼
보이는 푸동(浦東)은 세상 어디에도 없는 풍경이다.
상하이 지하철 노선은 세계에서 가장 길어서 607㎞에 이르고, 도시를 동서로 잇는 루푸대교(盧浦大橋)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긴 아치형 다리다.
하지만 가장 독특한 것은 이런 첨단 도시의 이면에 여전히 소박한 뒷골목 정서가 살아 숨쉰다는 점이다.
루쉰과 마오둔이 묘사했던 100년 전 모습 그대로 말이다.
앞으로의 연재를 통해 나는 세 번째 상하이 여행에서 탐닉했던 숨은 풍경과 사람들, 맛과 예술에 대해
소개할 것이다.
호화로운 호텔과 레스토랑, 루프탑바에 대한 이야기와 함께 작은 동네 서점, 게스트하우스 이층 침대,
허물어져 가는 재개발 지구에 대한 이야기도 있을 것이다.
흔한 관광지 이야기보다는 직접 보고 느낀 상하이를 다소 주관적으로 소개하는 글이 될 것 같다.
부디 독자분도 이 기묘한 도시 여행에 즐겁게 동참해주시길 바라본다.
상하이를 여행할 때 대중교통 걱정은 붙들어 매도 좋다.
상하이 연재가 오늘로 마지막회를 맞는다.
에필로그 형식의 에세이를 쓰려다가, 처음으로 되돌아가기로 했다.
이 연재는 끝나지만, 독자들의 상하이 여행은 이제 시작이라는 생각에서다.
상하이 자유 여행을 준비할 때 알아둬야할 여행 팁을 소개하며 연재를 마무리한다.
이란성 세쌍둥이처럼 보이는 푸동의 마천루. 왼쪽부터 SWFC·진마오타워·상하이타워.
우선 지난 연재에서 상하이를 여행하기 가장 좋은 계절은 봄과 가을임을 밝혀뒀다.
적절한 기온 뿐만 아니라, 도심 곳곳에 공원이 많아 벚꽃의 분홍빛, 여린 잎새의 연둣빛을 모두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
봄에는 갓 채취한 롱징(龍井) 녹차를, 가을에는 토실토실 살이 오른 상하이 털게(大閘蟹)도 입맛을
사로잡는다.
여행 시기를 정했다면 다음 할 일은 비자를 만드는 것이다.
중국 여행에서 가장 번거롭게 생각하는 것이 비자인데, 최소 여행 한 달 전에는 신청하는 게 안전하다.
신청 방법은 두 가지이다.
‘중국 비자신청 서비스센터’를 통하거나, 일반 여행사를 이용하면 된다.
전자는 도매상, 후자는 소매상에 해당한다.
가장 저렴하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은 도매상인 중국 비자 신청 서비스센터를 직접 방문하는 것.
이 경우 30일까지 체류 가능한 관광비자(L)를 수수료 포함 5만5000원에 발급받을 수 있고, 5일 정도
소요된다.
하지만 서울 2곳을 비롯해 전국에 지점이 4개 지점 뿐이다.
우편으로 신청하더라도 일주일이 넘게 걸린다.
중요한 것은 중국 비자신청 서비스센터를 이용할 경우 항공과 호텔을 미리 예약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를 e티켓과 호텔 예약 확인서로 증빙해야 하며,
가족관계 등 개인 신상과 일자별 여행 일정도 꼼꼼히 기록해 제출해야 한다.
이런 번거로운 과정이 싫다면 소매상인 일반 여행사를 이용하자.
여권 사본만 보내주면 되므로 절차가 무척 간편하다.
하지만 추가 수수료를 내야하므로 동일한 관광비자 가격이 7만5000~8만원으로 껑충 뛴다.
항공편을 예약할 때는 시간 여유를 두고 특가가 나오는지 살펴보자.
상하이 항공편은 조기 마감되는 경우가 별로 없다.
상하이는 한국에서 취항 항공기가 가장 많은 도시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인천~푸동 노선만 해도 하루 최대 38편이 뜨고, 시간대도 다양하다.
저비용항공사도 있지만 대구·무안·제주 등 지방 공항에만 취항한다.
저렴한 서울 출발편을 찾는다면 중국 항공사를 선택하는 것이 현명하다.
특히 중국남방항공의 경우 15만원대의 깜짝 특가를 자주 판매한다.
호텔은 어떻게 골라야 할까?
아이와 함께라면 호텔 근처에 쇼핑몰, 푸드코트가 많은 푸동 루자주이,
커플 여행이라면 로맨틱한 와이탄, 어른 중심의 가족 여행이라면 교통이 편리한 런민공원이나 난징시루
거리를 추천한다.
번잡함을 싫어하고, 현지인과 어울리기 좋아하는 여행자라면 쉬후이의 작은 부티크 호텔을 선택해보자.
쉬후이는 옛 프랑스 조계로 불리는데, 고즈넉한 골목과 카페가 많다.
상하이에서 가까운 운하의 도시 쑤저우.
호텔 예약까지 마쳤다면 다음으로 할 일은 현지투어나 기차표를 미리 신청하는 것이다.
항저우, 쑤저우 같은 인근 도시, 주자자오 같은 수향 도시를 당일치기로 다녀오려면 조금 비싸더라도
현지투어가 가장 편리하다.
특히 부모님을 모시고 떠난 가족여행이라면, 하루쯤 아무 생각 없이 가이드를 따라다니는 현지투어가 꼭
필요하다.
내일투어·하나투어·쿨쇼트립 등 여행사에서 현지투어와 공연 티켓을 판다.
막상 상하이에 도착하면 더 이상 걱정할 일은 없다.
여행자가 주로 찾는 관광지는 모두 조밀하게 모여 있고, 지하철역에서 가깝다.
여행 일정이 2박3일 정도로 짧다면 시티투어 1일 패스를 구매해 주요 관광지를 한번에 둘러보는 것이
효율적이다.
가격도 30위안(약 5100원)으로 저렴하고, 하루종일 횟수 제한없이 승하차 할 수 있다.
'해외여행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럽 여행에 악센트를 주다 (0) | 2017.01.02 |
---|---|
캐나다에서 꼭 해봐야 할 20가지 체험 (0) | 2017.01.02 |
세계에서 가장 큰 동굴 성, 슬로베니아 프레드야마성/ 포스토이나 동굴/ 블레드 호수 (0) | 2016.12.24 |
슬로베니아와 이탈리아 사이, 피란 (0) | 2016.12.24 |
팍세, 당신이 모르는 라오스 (0) | 2016.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