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v.daum.net/v/20190717121735556?d=y
고민정, 언론사 이례적 실명 비판.."원제목 바꿔 일본어판 제공"
日 수출규제 사태서 여론전 악영향 우려한듯.."객관적·국익 시각으로 봐달라"
"무엇이 우리 국민을 위한건지 답해야"..조국도 SNS로 두 언론 비판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연합뉴스 자료사진]
청와대는 17일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와 관련한 국내 특정 언론사의 보도를 거명하며 "이게 진정 우리 국민의
목소리를 반영한 것인지 묻고 싶다"고 비판적인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혔다.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지난 1일 시작된 일본의 수출제한 조치는 오늘까지도 진행 중"이
라며 "우리 정부는 팽팽한 긴장 속에서 국익을 최우선에 두고 신중하게 한발 한발 내디디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기업은 정부와 소통으로 어떤 여파가 있을지 단기적 대책부터 근본 대책까지 논의에 논의를 거듭하고
있다"며 "국민은 각자 자리에서 각자 방법으로 우려 깊은 눈으로 바라보고, 정치권도 초당적 협력을 하기로
뜻을 모았다"고 언급했다.
고 대변인은 그러면서 "이런 상황에서 조선일보는 7월 4일 '일본의 한국 투자 1년 새 마이너스 40%, 요즘 한국
기업과 접촉도 꺼려'라는 기사를 '한국은 무슨 낯짝으로 일본에 투자를 기대하나'로 원제목을 다른 제목으로
바꿔 일본어판으로 기사를 제공하기까지 했다"고 비판했다.
고 대변인은 또 "(조선일보는) 7월 5일 '나는 선 상대는 악, 외교를 도덕화하면 아무것도 해결 못 해'라는 기사를,
'도덕성과 선악의 이분법으로는 아무것도 해결할 수 없다'로 (바꿔 제공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7월 15일 '국채보상·동학운동 1세기 전으로 돌아간 듯한 청와대' 기사를 '해결책 제시않고 국민 반일감정에
불붙인 청와대'로도 바꿔 제공했다"고 했다.
고 대변인은 "뿐만 아니라 조선일보는 5월 7일 '우리는 얼마나 옹졸한가'라는 한국어 제목 기사를, '한국인은 얼마
나 편협한가'라는 제목으로 바꿔 게재했다"며
"이는 수출 규제가 시작되기 전인 5월 7일"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현재도 야후재팬 국제뉴스 면에는 중앙일보 칼럼 '한국은 일본을 너무 모른다', 조선일보 '수출규제, 외교의
장에 나와라', '문통 (문 대통령) 발언 다음 날 외교 사라진 한국' 등의 기사가 2·3위에 랭킹 돼 있다"고 밝혔다.
중앙일보가 일본어로 게재한 '닥치고 반일이라는 우민화 정책'이라는 제목의 칼럼도 거론했다.
고 대변인은 "그만큼 많은 일본인이 한국 기사를 번역한 이런 기사로 한국 여론을 이해하고 있다"며 "한국 기업이
어려움에 처하고 모두 각자 자리에서 지혜를 모으려고 하는 때에 무엇이 한국과 우리 국민을 위한 일인지 답해야
한다"고 말했다.
청와대 대변인이 이처럼 특정 언론사의 보도를 거론하며 비판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로, 여기에는 해당 기사들
이 객관적 시각을 담지 않았음은 물론 일본 경제보복 국면에서 국익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청와대의 판단이 깔
린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조국 민정수석 역시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조선일보와 중앙일보 일본판 기사 제목을 거론하며 "일본 내
혐한 감정의 고조를 부추기는 매국적 제목"이라며 강력히 비판한 바 있다.
청와대 대변인과 민정수석이 동시에 특정 언론사를 겨냥했다는 점에서, 청와대 내부에서 두 언론의 보도가 악의
적이라는 판단에 강력한 '경고'를 한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와 관련, "(언론이) 지금 이 상황을 더 객관적 시각으로, 국익 시각으로 봐주길 바라는 당
부의 말"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일본 수출 규제의 여파가 적지 않고, 내일 문재인 대통령은 여야 5당 대표와 회동하는 등 많은 사람
이 이 부분을 해결하고자 지혜를 모으는 상황"이라며
"우리의 목소리, 즉 한국 국민의 여론이 뭔지를 (잘 알려내고) 우리가 이 일을 해결하기 위해 어떤 방안이 필요한
지 힘을 모아야 하는 때이다. 여기서 언론의 중요함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우리 목소리가 정말 (조선일보·중앙일보에 나온) 그대로인가"라며
"일본에서는 이 칼럼으로 한국 국민이 이런 여론을 갖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겠나"라고 반문했다.
이어 "우리도 수많은 일본 언론을 보고 일본 국민의 판단을 간접적으로 해석한다. 일본도 마찬가지일 것"이라며
"(조선일보·중앙일보 보도로) 국민 목소리가 얼마나 정확하게 일본에 전달될지 묻고 싶은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 관계자는 '두 신문사의 입장을 요구하는 것인가'라는 물음에는 "대변인이 언론을 담당하는 역할을 하니 공개적
으로 당부를 한 것이고, 입장을 낼지는 상대(조선일보·중앙일보) 쪽에서 결정할 부분"이라고 답했다.
일부에서는 조 수석과 고 대변인이 비슷한 시기에 두 언론사를 비판한 것을 두고 청와대가 '작심 발언'을 한 것이
아니냐는 관측에 대해서는, 이 관계자는 "조 수석이 SNS에 글을 올린 것은 개인 자격으로 올린 것이며, (대변인
발언과) 연관이 없다"고 했다.
'해당 보도들이 문제가 된 지 며칠이 흘렀는데, 오늘 이런 입장을 표한 이유가 있나'라는 질문에는 "고 대변인은
어제 오전에 파악했으나 어제는 브리핑할 시간이 없었다"고 설명했다.
'조 수석의 페이스북 활동이 옳다고 보느냐'는 물음에는 "개인적 의견 개진에 대해 청와대가 옳고 그름을 판단할
일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어 '고 대변인의 발언에는 문 대통령의 의중이 담긴 것인가'라는 물음에는 "대변인이 늘 대통령의 말만 전달하
는 것은 아니다. 언론사에서 오보가 나가는지, 국민에게 제대로 정보가 전달되는지 파악하는 것도 대변인의 업
무"라고 답했다.
![한일 '수출규제' 실무접촉 (PG) [장현경 제작] 일러스트](https://t1.daumcdn.net/news/201907/17/yonhap/20190717121735781uvdv.jpg)
한편 이 관계자는 '일본의 추가 보복에 대한 대응책이 있나'라는 물음에는 "답답하시겠지만 지금 미리 말씀드리
는 것이 해결책은 아닐 것"이라며 "기업과 계속 소통하고 있다"고 답했다.
강제징용 문제와 관련해 이른바 '1+1+α' 안을 청와대가 검토하지 않는다고 밝힌 것에 대해서는 "피해자들과 국
민의 수용 정도가 가장 중요하다"며 "피해자들이 100% 합의하는 사안이 있다면, 무엇이든 검토할 수 있을 것"이
라며 "(해당 안 역시) 피해자들이 100% 동의해 왔다면 저희가 (검토하지 않는다고) 말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靑, 조선·중앙 일본판 기사 작심 비판..조선일보, 기사 삭제
https://news.v.daum.net/v/20190717225213866?s=tv_news
[앵커]
청와대가 조선일보와 중앙일보의 일본어판 기사가 왜곡된 제목을 통해 일본 내 혐한 감정을 조장하고 있다고
강력하게 비판했습니다.
청와대 대변인과 민정수석이 오보가 아닌 기사 제목의 문제를 지적한 것은 이례적인데, 조선일보는 해당 기사를
삭제했습니다.
김도원 기자입니다.
[기자]
일본의 무역 보복에 대한 정부 대응을 비판한 15일 자 조선일보 사설입니다.
일본어로는 '해결책을 제시하지 않고 반일감정에 불 붙이는 청와대'로 번역돼 많이 본 뉴스에 올랐습니다.
일본의 한국 투자가 줄었다는 기사는 '한국은 무슨 낯짝으로 일본의 투자를 기대하나' 라는 제목으로 번역
됐습니다.
중앙일보의 경우 '닥치고 반일이라는 우민화 정책'이라는 칼럼을 일본어로 번역해 게재했습니다.
청와대는 이렇게 조선일보와 중앙일보가 일본어로 번역해 올린 기사를 통해 일본인들이 한국의 여론을
이해하고 있다면서, 이게 우리 국민의 목소리를 반영한 것이냐고 비판했습니다.
[고민정 / 청와대 대변인 : 모두가 각자의 자리에서 지혜를 모으려고 하는 이때에, 무엇이 한국과 우리
국민들을 위한 일인지 답해야 할 것입니다.]
앞서 조국 민정수석도 자신의 SNS에 같은 취지의 글을 올렸습니다.
조선·중앙일보 일본판 기사를 분석한 언론 보도를 인용해,
혐한 감정을 부추기는 매국적 제목을 쓰고 있다고 비판하고,
민정수석 이전에 한국인으로서 강력히 항의한다며 두 신문의 책임있는 답변을 요구했습니다.
논란이 일자 조선일보 일본어판에서는 문제로 지적된 일부 기사가 삭제됐습니다.
청와대가 오보에 대해 사실관계를 설명하거나 정정을 요구하는 일은 종종 있었지만, 제목을 놓고 민정수석까지
비판 대열에 나선 것은 상당히 이례적입니다.
앞서 '블랙리스트' 논란, 대북 정책이나 한미 공조에 대한 비판 기사로 논란이 일 때 청와대는 팩트 오류에 대해
서는 정정보도를 요구하면서도, 생각과 견해의 차이는 문제 삼지 않았습니다.
청와대는 이번 사례의 경우 제목을 왜곡해서 우리 정부에 대한 일본 내 여론을 악화시킨다고 보고 국익을 위해
강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입니다.
YTN 김도원입니다.
'세상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베는 왜] 韓 어느새 턱밑까지.."지금 치지 않으면 日 죽는다" (0) | 2019.07.17 |
---|---|
[단독]일본, 반도체 소재 '제3국 우회'도 차단 (0) | 2019.07.17 |
수교 이후 최악의 한일갈등, 과거와 다른 4가지 (0) | 2019.07.17 |
日산케이 "韓, 제3국 중재위 거부는 부작위..보복 검토" (0) | 2019.07.17 |
조국 "조선·중앙 '매국적 제목'에 한국인으로서 강력 항의" (0) | 2019.07.16 |